-
[스프링 부트 개념과 활용] 외부설정 - @ConfigurationPropertiesSPRING/스프링부트 개념과 활용 2020. 12. 25. 01:17
@ConfigurationProperties
properties 파일의 key값을 묶어서 Bean으로 등록이 가능하다.
ex :) 아래와 같이 jump로 묶는 것이 가능함.
@ConfigurationProperties 어노테이션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은 의존성을 추가해야 한다.
<dependency>
<groupId>org.springframework.boot</groupId>
<artifactId>spring-boot-configuration-processor</artifactId>
<optional>true</optional>
</dependency>@Validated 어노테이션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은 의존성을 추가해야 한다.
<dependency>
<groupId>javax.validation</groupId>
<artifactId>validation-api</artifactId>
<version>2.0.1.Final</version>
</dependency>
<dependency>
<groupId>org.hibernate.validator</groupId>
<artifactId>hibernate-validator</artifactId>
<version>6.0.7.Final</version>
</dependency>properties 파일에 선언하였던, name, age, fullName 들을 아래와 같이 정의하고 getter, setter를 생성합니다.
생성한 Properties 클래스를 아래와 같이 스프링 애플리케이션에 @EnableConfigurationProperties 를 이용하여 등록합니다.
아래와 같이 @Autowired로 Bean을 주입받아 사용하면 Properties 값들을 불러올 수 있다.
결과 :
'SPRING > 스프링부트 개념과 활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프링 부트 개념과 활용] 스프링부트 로그 설정 (0) 2020.12.26 [스프링 부트 개념과 활용] 프로파일 관련 정리 (0) 2020.12.25 [스프링 부트 개념과 활용] 외부설정 - Application.properties (0) 2020.12.24 [스프링 부트 개념과 활용] SpringApplication 관련 정리 (0) 2020.12.20 [스프링 부트 개념과 활용] 자동 설정 @EnableAutoConfiguration (0) 2020.1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