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GS타워] 구내식당맛집탐방 2021. 5. 9. 11:39
현재 필자는 GS타워에서 개발자로 일하고 있습니다 :D GS타워에서 일하는 장점은 여러가지지만 크게 두가지인데요 !! 첫째, 역삼역과 이어져 있어서 교통이 편리하다 !! 둘째, 구내식당이 맛집이다 ~ 입니다. 구내식당은 5500 ~8500원 정도의 가격으로 이용할 수 있고요~ 제가 뽑은 베스트 메뉴는 치킨 스테이크 입니다 !! 5500원에 아래와 같은 꿀 메뉴를 먹을 수 있으니 출근이 기다려지네요 ~ 치킨스테이크는 매콤하면서 굽네치킨 비슷한 맛이 나고요 ㅎ 빠네 스프도 JMT였습니다. 다음주에도 맛난거 나왔으면 좋겠네요 !! 기회 되면 GS타워 구내식당 한번 이용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Component와 컴포넌트 스캔SPRING/스프링프레임워크 핵심개념 2021. 5. 9. 10:52
@ComponentScan 어노테이션은 해당 클래스가 있는 Package 이하의 모든 클래스들을 스캔한다. 스프링부트의 경우 Application 클래스에 @SpringBootApplication가 존재하는데 @ComponentScan을 포함한다. 위와 같이 다른 패키지에 있는 MyService의 Bean을 등록하려면 어떻해야 할까? 아래 코드와 같이 패키지 밖에 있는 클래스를 별도로 Bean으로 등록하면된다. @SpringBootApplication public class DemoApplication { @Autowired MyService myService; @Autowired BookService bookService;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new..
-
@Autowired를 이용한 의존성 주입SPRING/스프링프레임워크 핵심개념 2021. 5. 9. 02:09
@Autowired를 이용하여 의존성을 주입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은 방법들이 존재한다. Field Injection @Service public class BookService { @Autowired BookRepository bookRepository; } Constructor Injection @Service public class BookService { BookRepository bookRepository; @Autowired public BookService(BookRepository bookRepository) { this.bookRepository = bookRepository; } } Set Injection @Service public class BookService { BookRepos..
-
다양한 Bean 주입 방법SPRING/스프링프레임워크 핵심개념 2021. 5. 8. 23:01
스프링프레임워크에서는 다양한 방법으로 Bean을 주입할 수 있다. 스프링에서는 application.xml에 직접 bean을 정의하거나, component-scan을 통하여 bean을 scan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component-scan은 base-package 이하의 클래스에 선언되어 있는 bean들을 scan하여 주입한다. component-scan이 당연하지만 훨씬 많이 이용 되고 있다. xml 외에 JAVA 파일을 통해서 Bean 주입도 가능하다. 위와 같이 Bean을 주입하는 방법도 가능하지만 많이 사용하지는 않는다. 요즘 많이 사용하는 스프링 부트에서는 프로젝트를 생성하면 @SpringBootApplication 어노테이션이 붙은 Application 자바파일이 생성된다. 해당 어노..
-
IOC컨테이너/ 빈 / DI 관련 개념정리SPRING/스프링프레임워크 핵심개념 2021. 5. 8. 21:23
스프링프레임워크에서 제공하는 주요 기능 중 하나는 DI(의존성 주입)이다. DI 관련 용어와 개념을 간단하게 정리하고자 한다. DI (Dependency Injection) : 계층이나 서비스 간에 의존성이 존재할 경우 개발자가 직접 의존 객체를 주입하는 것이 아닌 스프링 프레임워크에서 의존성을 주입하는 것을 말한다. IOC(Inversion Of Controll) : 제어의 역전이라는 뜻으로, 의존 객체 주입을 개발자가 아닌 스프링 프레임워크에서 제어한다는 뜻이다. IOC 컨테이너 : 스프링 프레임워크에서 IOC방식으로 인스턴스의 생명주기와 스프링 빈을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 빈 생성 - 빈 제공 - 의존 관계 설정 - BeanFactory - ApplicationContext (주로 사용) Bea..
-
[스프링부트 개념과 활용] 스프링 RestTemplate / Webclient 사용SPRING/스프링부트 개념과 활용 2021. 1. 22. 01:46
스프링 REST 자바단(서버단)에서 Client로써 다른 서버에 REST 요청을 하기 위해서는 rest클라이언트 인스턴스를 생성해서 사용해야 된다. 이때 2가지 선택사항이 존재하는데 아래와 같다. RestTempalte - Blocking I/O 기반의 Synchronous API WebClient - Non-Blocking I/O 기반의 Asynchronous API RestTemplate 예시 hello 메서드는 sleep을 5초를 주고, world는 3초를 준다. Blocking I/O 기반의 RestTemplate으로 요청을 날렸기 때문에 응답이 올때까지 다음으로 넘어가지 않는다. 즉, hello 요청에서 5초를 기다리고, world에서 3초를 기다리므로 8초 +@의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측할 수..
-
[스프링부트 개념과 활용] 스프링 시큐리티 (활용)SPRING/스프링부트 개념과 활용 2021. 1. 20. 12:34
이전 포스팅은 단순히 스프링 시큐리티를 적용하는데 그쳤지만, 이번에는 실제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고자 한다. 위와 같이 시큐리티 설정을 하는 클래스를 생성한다. (index 페이지와 hello 페이지는 정상적인 접근이 가능하지만, my 페이지는 폼 인증 이후 접근이 가능하도록 설정) - PasswordEncoder는 password를 encoding을 한 후에 password를 저장하도록 하는 Bean이다. 계정 정보 Account Entity AccountRepository - 유저이름을 조건으로 유저 정보를 찾는 메서드 추가 AccountService - createAccount : 계정을 생성하는 메서드 - loadUserByUsername : username을 이름을 기준으로 유저정보를 ..